시니어의 사회공헌 아이디어를 시니어와 청년이 함께 직접 실행해보는 축제의 장 <시니어드림페스티벌>이 지난 9월 28일 결선대회를 끝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. 시니어와 청년이자세히 보기
희망모울> 행사후기
[시니어사회공헌센터] 시니어와 젊은이가 함께 배우는 학교
시니어와 젊은이가 함께 배우는 학교 <지혜로운학교 (U3A서울)> (이하 지혜로운학교)는 희망제작소 은퇴자 교육 프로그램인 ‘행복설계아카데미’ 수료생들이 주축이 되어 영자세히 보기
[뿌리센터] 커뮤니티비즈니스, 농촌을 살리다
4월 18일과 4월 25일 공동체농업지원센터 윤종상 대표(귀농인, 횡성 농부)의 ‘농촌에서 희망을 찾다’와 희망제작소 홍선 뿌리센터장의 ‘마을만들기와 커뮤니티비즈니스’ 강의가 있었자세히 보기
[뿌리센터] 농촌에 살어리랏다
콘크리트 숲에 사는 도시인들에게 지역공동체란 이미 낯선 단어가 된듯하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은 도시에 살면서도 나고 자란 지역에 대한 추억을 떠올리며 옛 시절을 그리워하고자세히 보기
[사회적경제센터] 사회적기업 비즈니스모델 상상 4계명
용의 얼굴에 눈동자를 그려 넣자… 중국 남북조시대 양나라에 장승요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. 어느 날 그는 안락사에 용을 그려달라는 부탁을 받고 용 두 마리를 안락사 벽에 자세히 보기
[사회혁신센터] ‘살기 좋은 서울’을 만드는 방법 대공개
희망제작소 사회혁신센터는 서울연구원과 함께 서울의 공공서비스를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해 진단하고 개선해 보는 ‘좋은 서울 만들기 대학(원)생 공공서비스디자인 캠프&#자세히 보기
[뿌리센터] 같이 돌자 비비정 마을 한 바퀴
희망제작소는 완주군의 지역자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신택리지사업을 진행했습니다. 신택리지사업을 통해서 발굴된 완주군의 지역자원을 바탕으로 중앙정부(농림수산식품부)의 신문화공간조성사업 자세히 보기
[시니어사회공헌센터]25명의 직장인, 그들의 퇴근은 특별했다
25명의 직장인, 그들의 퇴근은 특별했다 9시까지 출근하고, 야근하고, 퇴근하고 다시 9시에 출근을 하고 하루하루 비슷비슷한 삶을 사는 사람들, 한국사회에서 누구보다 성실하게 일하자세히 보기
[사회혁신센터] ‘꿀벌의 시대’에 대처하는 정부의 자세
‘꿀벌의 시대’에 대처하는 정부의 자세 희망제작소 사회혁신센터는 여행사공공과 함께 사회혁신의 세계적 동향을 파악하고, 실질적인 사회혁신방법론과 사자세히 보기
[시니어사회공헌센터]시니어와 청소년, 그들이 만난 까닭은
시니어와 청소년, 그들이 만난 까닭은할아버지, 할머니, 부모와 자녀가 함께 살았던 과거와 달리 요즘은 가족의 형태가 핵가족화되면서 점점 세대 간의 소통의 기회가 줄어들고 있습니다.자세히 보기